본문 바로가기
금융권 재테크

퇴직연금 디폴트옵션과 TDF

by 권선 2021. 12. 10.

정치권에서 퇴직연금 디폴트옵션을 합의했다는 이야기가 나와서 디폴트옵션이라는 말이 요즘 경제기사에 나오네요. 디폴트옵션은 우리나라 말로 바꾸면 '사전지정운용제도'라고 부릅니다. 디폴트옵션은 확정기여형(DC)퇴직연금이나 개인형 퇴직연금(IRP)가입자가 별도의 의사 표시를 하지 않을 경우, 투자금을 미리 정해져있는 펀드 등 실적배당형 상품에 자동으로 투자하는 제도입니다. 디폴트옵션에서 허용하는 상품에는 TDF, 인프라펀드 등이 있어요. 지금은 가입자의 의사 표시가 없으면 수익률이 낮은 원리금 보장 상품에 투자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영향으로 퇴직연금의 최근 5년간의 수익률이 연평균 1.85%에 불과합니다. 노후대비 역할을 제대로 못하고 있어서 이러한 이야기가 나오고 있습니다.

디폴트옵션 이라는 이야기가 나오면서 TDF상품이 크게 성장할 것이라고 보고 있습니다. TDF는 타깃데이트펀드라고 하는데요, 타깃데이트(Target Date)는 투자자의 은퇴시점을 목표시점으로 잡는 것입니다. 투자자의 은퇴시점으로 지정된 시점을 고려합니다. 은퇴까지 남은 기간에 국내외 주식과 채권의 편입 비율을 알아서 조정해 투자하는 펀드상품입니다. 은퇴 시점까지 기간이 많이 남아있으면 주식 등 위험자산 비율을 높이고, 은퇴가 가까워질수록 채권 등 안전 자산 비율을 높이는 방식으로 운용됩니다.

 

TDF상품명 뒤에 은퇴시점을 의미하는 숫자가 붙는데요, 예를 들면 다음과 같습니다. 삼성한국형TDF2050, KB온국민TDF2055, NH아문디하나로TDF2045 등과 같은 경우가 되겠습니다. 뒤에 있는 시점을 언제로 선택해야하는 지는 본인의 생년월일과 은퇴나이를 고려해서 정하면 됩니다. 1980년생으로 60세에 은퇴할 예정이라고 가정하면, 1980과 60을 더한 값인 2040이라는 숫자가 들어가 TDF2040을 선택하는 방법으로 하면 될 것입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