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월 3~5일 단 3일간 판매 한 하나은행 금리 5%적금이 있었습니다. 저도 하루종일 걸려서 겨우 어플로 가입했습니다. 1년 만기 월 30만원 한도의 적금이었습니다. 저뿐만 아니라 많은 사람들이 이 적금에 가입하기 위해 한꺼번에 몰리면서 은행 전산이 마비되기도 했습니다. 그런데 다들 이렇게까지 해야하나 싶었을 것입니다. 왜냐하면 1년 이자가 8만원이기 때문입니다. 연이율 5.01%금리는 초저금리 시대인 요즘 eye-catching product 였기 때문에 1년이자 8만원이라는 것보다 금리에 눈길이 확 빠져버렸습니다. 3일동안 130만명이 넘는 사람들이 몰렸습니다.
그런데 신한은행도 최고 연 5%, 우리은행도 최고 연 4%의 금리를 제공하는 적금을 판매 중입니다. 그렇지만 우대 조건이 복잡합니다. 신한은행의 ‘첫 급여 드림’ 적금은 급여 이체 3개월 후 연 1%, 6개월 후 연 2%, 9개월 후 연 3% 포인트의 우대 금리가 각각 적용됩니다. 사실상 연 5%의 이자율이 적용되는 건 마지막 3개월 동안입니다. 우리은행의 ‘우리 원 모아’ 적금도 기본 금리 연 1%에 오픈 뱅킹 서비스로 만기까지 매월 2회 이상 우리은행 입출금통장에 입금해야 우대금리 연 2%, 오픈뱅킹 서비스에 타행 계좌등록 연 0.5%, 마케팅 동의 연 0.5%등 추가 조건 만족 시 연 4%금리 적금을 제공합니다. 사회 초년생들이 적금 상품 이자 지급액에 헷갈리는 부분이 있다고 합니다. 월 30만원씩 1년을 적금하면 360만원에 5%이자니까 18만원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런데 적금은 예금과 달리 입금 회차가 지날수록 적용되는 이자가 낮아집니다. 첫 달에 넣은 30만원에 대해서는 1년치 이자를 다 받을 수 있지만, 두 번 째 달에 넣은 30만원에 대해서는 11개월치 이자만 붙는 것입니다. 이와같이 ‘고금리착시’ 현상을 잘 살펴보고, 시간과 노력같은 기회비용도 잘 따져서 가입해야겠습니다. 적금은 한도가 정해져 있어서 많이 넣고 싶어도 제한되기 때문입니다. 한국은행이 기준 금리를 계속 유보하거나 내리고 있고, 금리가 초저금리로 계속 유지되고 있는 상황에서 고금리 착시 현상이라 하더라도, 서민들 입장에서 금리를 조금이라도 더 주는 것으로 달려가고 있습니다. 하나은행이 출시한 '하나 더 적금'에 가입하려고 하나은행 앱 설치자가 55만명이 늘었으며, 앱 이용자 수는 175만9000여명이 증가했다고 합니다. 판매기간 당시 한꺼번에 많은 고객이 몰린 탓에 앱 접속이 원활하지 않았을 정도로 많은 사람들이 가입하려 했습니다. 더욱이 20~30대 이용량이 약 11%가 늘어 젊은 층에서도 큰 호응을 얻었다고 합니다. 남녀 노소를 불문하고 저금리 시대에 살고 있는 만큼 국민 대다수가 0.1%금리라도 더 얻기위해 고금리 상품에 관심을 가지고 있습니다.
'금융권 재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0년 달라지는 건강보험료 (0) | 2020.02.24 |
---|---|
DLF사태 은행별 고위험상품 판매제한 (0) | 2020.02.22 |
2019년 MG화성새마을금고 고금리적금 추억 (0) | 2020.02.20 |
하나은행 특판적금 가입했습니다. (0) | 2020.02.08 |
하나은행 연 5% 특판 적금 출시 (0) | 2020.02.0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