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15

수용성 조정지역 지정? 라임자산운용 [수용성 조정지역 지정 여부] 12.16 부동산대책이후 풍선효과에 따른 수용성 등 일부 수도권 집값 급등에 따른 그 보완대책이 이번 주내에 나올 예정입니다. 국토교통부는 수도권 이상과열 현상에 대한 추가대책 마련을 하고 있습니다. 15억 초과 아파트가 대출이 차단됨으로써 강남 집값은 어느정도 잡혔다는 평가입니다. 오른상태에서 잡힌 것이 무슨 의마가 있나 싶기도 합니다만 더 오르지는 않고 있다고 합니다. 그런데 9억원 미만 물량은 집값이 들썩이고 있습니다. 수원 팔달구는 조정대상지역임에도 불구하고 6.3%나 올랐다고 한국감정원 통계치에 나오고 있습니다. 예상되는 대책은 투기과열지구와 조정대상지역을 확대하는 것입니다. 이에 따라 수용성 등 수도권 일부지역의 추가 제재가 들어갈 것입니다. 12.16대책으로 1.. 2020. 2. 19.
수원 호매실동 저가 소형 2억 올랐다. 12.16대책에 따라 15억 초과 아파트 거래가 10%에서 2.6%로 급감했습니다. 이에 반해 수용성이라 불리는 곳 중 수원 아파트값은 일주일 새 2%넘게 올랐습니다. 당정청에서는 고위급협의회를 통해 수용성 대책 논의를 했다고 합니다. 국토부도 수원시 내 영통 등 조정지역 확대를 검토하고 있습니다. 서울 서초구 잠원동 신반포4차 전용면적 137.1제곱미터는 지난 12월 10일 29억 5000만원(12층)에 팔려 신고가를 기록했습니다. 그런데 11일 뒤 같은 면적이 28억원(10층)으로 뚝 떨어져 거래됐습니다. 반면 경기 수원시 권선구 능실마을 19단지 호매실 스위첸 전용 59.9제곱미터는 2019년 11월 3억3500만원에 팔렸던 것이 2020년 1월 하순 4억 3000만원에 거래가 됐습니다. 현재 매도.. 2020. 2. 18.
수용성 넘어 구광화(구리 광명 화성) 12.16대책 이후 풍선효과가 수도권에서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습니다. 부동산 열기가 수용성에서 구리, 광명, 화성을 넘어 시흥, 안양, 의왕, 남양주까지 번지고 있습니다. 2019년 12월30일이후 현재까지 아파트 매매가격 상승률을 살펴보면, 구리시가 2.31%로 가장 높았습니다. 다음으로 화성시 2.10%, 광명시 1.85%, 안양시 1.45%, 의왕시 0.97%, 남양주시 0.75%였습니다. 같은 기간 서울의 아파트 매매가격 상승률은 0.20%였습니다. 특히 구리, 광명 등 수도권 지역의 부동산 가격 흐름은 최근 가파르게 오른 수용성에 못지 않습니다. 같은 기간 수용성은 5~7%대 상승률을 기록했습니다. 수용성을 넘어 돈이 몰리는 구리, 광명, 화성의 집값이 오르는 건 유동성이 지속적으로 유입되고 있.. 2020. 2. 17.
GTX사업 지지부진, 고금리 적금 특판, 대형마트와 부동산 [GTX사업 지지부진] Great Train Express로 불리는 GTX사업은 국토부, 지자체, 시행사가 다 연결되어 있습니다. 그러다보니 서로간의 입장차이도 있고, 민원, 환경 등의 문제로 사업이 지지부진하다고 합니다. GTX A노선의 경우 강남구 청담동을 지나는 노선을 우회요청하는 민원이 강남구청에 접수되어, 강남구청이 이를 수용했다고 합니다. 한강 밑으로 우회를 요청했다고 합니다. GTX는 시속 200km의 속도로 수도권을 연결하는 고속철도입니다. 2009년 처음 제기되었는데요, 특정지역에서 역 신설을 요구하는 것도 있고, 재산권침해등 다른 민원등의 문제도 있어 아직은 말이 많은 것 같습니다. 재산권침해관련해서는 대심도 작업이기 때문에 재산권침해가 미미하다는 입장도 있습니다. GTX A노선은 착공.. 2020. 2. 16.
4월 분양가 상한제 시행 전 주목할 수도권 분양예정 단지 이제 곧 봄이 됩니다. 봄이 되면 아파트 분양시장도 성수기 시즌입니다. 오는 4월 분양가 상한제 유예기간 종료를 앞두고 분양가를 조금이라도 높게 받으려는 사업자들이 앞다투어 분양에 나설 것입니다. 여기서 주목할 것은 청약점수가 아주 높은 경우가 아니라면, 분양가 상한제 시행 전인 올 봄이 청약에 좋은 기회가 될 수도 있다고 합니다. 그래서 주목할 만 한 분양 단지 좀 알아보겠습니다. 3~5월 수도권에서 총4만4427가구의 아파트가 분양될 예정이라고 합니다. 올 봄 수도권 분양시장에서 분양가 상한제 시행을 앞두고 ‘밀어내기’식으로 나오는 물량이 많을 것입니다. 30~40대 실수요자가 노릴만한 시장이 될 수 있습니다. 분양가 상한제 시행 이후 분양이 없어지는 것은 아니지만, 감소할 가능성이 크다고 봅니다. .. 2020. 2. 15.
금리 5%적금 월 30만원 한도 1년만기 이자 8만원? 2월 3~5일 단 3일간 판매 한 하나은행 금리 5%적금이 있었습니다. 저도 하루종일 걸려서 겨우 어플로 가입했습니다. 1년 만기 월 30만원 한도의 적금이었습니다. 저뿐만 아니라 많은 사람들이 이 적금에 가입하기 위해 한꺼번에 몰리면서 은행 전산이 마비되기도 했습니다. 그런데 다들 이렇게까지 해야하나 싶었을 것입니다. 왜냐하면 1년 이자가 8만원이기 때문입니다. 연이율 5.01%금리는 초저금리 시대인 요즘 eye-catching product 였기 때문에 1년이자 8만원이라는 것보다 금리에 눈길이 확 빠져버렸습니다. 3일동안 130만명이 넘는 사람들이 몰렸습니다. 그런데 신한은행도 최고 연 5%, 우리은행도 최고 연 4%의 금리를 제공하는 적금을 판매 중입니다. 그렇지만 우대 조건이 복잡합니다. 신한은.. 2020. 2. 14.